сигнальный

지우고 싶어도 지워지지 않는 뿌리, 이즈모 #2 본문

여행/일본 2019

지우고 싶어도 지워지지 않는 뿌리, 이즈모 #2

сигнальный 2019. 8. 3. 16:48

이즈모타이샤의 하이덴.

 

술의 신을 모시는 신전이다.

 

이즈모에 내려오는 신화중 상당히 많은 부분이 우리 삼국시대와 밀접하게 연관되 있다.

 

그중 대표적인것을 소개하자면 고사기, 일본서기에 기록되어있는 수사노오노미코토(須佐之男) 이야기다.

 

이즈모국에 한 건장한 젊은이가 들어온다.

 

그 젊은이가 어느날 노인부부가 어린 딸과 함께 울고 있는 모습을 보고 연유가 궁금해 묻자

 

딸이 8명이 있었는데 8개의 뱀 대가리를 한 이무기(야마타노오로치)라는 괴물이 매년 딸 한 명씩을 잡아먹었고

 

지금 마지막 남은 딸 이나타히메가 올해 차례라고 하소연을 한다.

 

상황이 딱해보인 청년은 도와주기로 결심하고 독한 술을 준비시킨후 괴물에게 먹이고 취하게 한 후

 

8개의 머리를 모두 베어버린 후에 이나타히메와 결혼한다.

 

 

 

기록에는 수사노오노미코토는 아마테라스오미카미(天照大神)의 후손으로 나오고 동시에 시라기(新羅)에서

 

온 사람으로 전해지는데 객관적으로 따지자면 신라에서 넘어온 호족일 가능성이 매우 크며

 

이 지역 통치의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이러한 신화를 만들었다고 여겨진다.

 

나중에 이즈모 지역에 머물면서 현 시마네 지역의 문물을 발전시키는 것으로 전해진다.

 

큐슈 북부 지역과 지금의 킨키 지방이 백제 문화의 중심이라면 산인 지역은 확실히 신라의 영향권이라는 걸 느낀다.

 

신전앞에 걸려있는 꽈배기는 시메나와라고 하는데 금줄장식으로 길이 8m, 둘레 4m, 무게 1.5t나 된다.

 

 

 

 

이즈모타이샤의 혼덴.

 

일본 신사중 가장 오래된 양식이고 규모도 최대이다.

 

태양의 여신이고 일본 건국 신화의 주인공인 아마테라스오미카미의 후손 타이코쿠 주신을 모신다.

 

많은 사람들이 일본 첫 고대 왕국이 이즈모에서 시작되었다고 믿는다.

 

 

 

1744년에 재건된 혼덴은 한 바퀴 도는데 5분정도 걸린다.

 

 

 

이즈모타이샤 신화의 또 다른 상징 이나바의 시로우사기(흰토끼) 상도 여기저기서 볼 수 있다.

 

 

 

카구라덴.

 

매해 10월에 일본 전국의 각종 신들이 여기에 모여 회의를 한다.

 

 

 

여기에 걸려있는 시메나와는 무려 3t의 무게를 자랑하는 일본 최대의 금줄이다.

 

 

 

이즈모타이샤를 비롯해서 이즈모 지역에는 카라카미시라기(韓神新羅)신사, 카라쿠니(韓國) 신사등

 

딱 봐도 우리 삼국시대 신라국에 엄청난 영향을 받은 흔적들이 여기저기 남아있다.

 

그러면 우리는 한가지 의문이 남는다.

 

그렇게 우리의 조상들을 신격화 해서 모시고 참배하고 하면서

 

왜 지금의 한국이나 조선에 대해서는 혐오의 감정을 엄청나게 폭발시키는가?

 

게다가 시마네현은 독도는 자기네 현 소속이라고 날조, 궤변을 늘어놓고 있는 상황인데...

 

 

 

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그 당시의 흐름과 뿌리를 지금의 한국이나 조선과는 다른 흐름이라고 어거지로 스스로를 세뇌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에서 넘어온 사람들이라도 그 존재나 정체성에 대해선 애매모호한 태도를 취하고

 

일본의 토착신으로서만 맹목적으로 섬기니 당연히 앞뒤가 맞지 않는 모양새가 나올 뿐이다.

 

이런 모순된 정신체계와 영국에서 흘러나와 미국의 탄생과 같은 역사적 흐름을

 

우리는 절대 아니라고 인정하지 않는 극렬한 열등의식 때문에

 

역사교과서의 날조는 말 할 것도 없거니와

 

대륙->반도->열도 순으로 이어지는 문화전파의 흐름을 틀어보려 고분에서 날조 사기치다 걸려 국제망신을 사는 것이고

 

과거 온갖 끔찍한 침략과 만행을 스스럼없이 저질럿던 것이고 죄의식는 눈꼽 만큼도 없는 채로

 

한국인이나 남북을 포함한 재일동포들만 보면 그저 눈깔이 뒤집혀서 앞뒤 따지지 않고 온갖 짓을 해대는 것이다.

 

이즈모타이샤에서 드러나는 그들의 이런 아전인수 마인드는 앞으로 더 심해질 것이고

 

우리는 친근함이나 동질감보다는 항상 경각심을 가지고 바라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