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經世濟民 (22)
Шикотан
흔히 우리가 신칸센 고속철도를 말할 때 기술적인 부분, 예를 들면 차량, 전기, 선로나 기업의 운영 체계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이건 쉽게 보일 뿐더러, 실제 체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통망으로서의 신칸센이나 그 정책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드물다. 물론, 신칸센의 역사와 지금까지의 발전은 여러 매체를 통해 알려져 있지만, 신칸센이라는 체계가 어떻게 나오게 되었는지 대해선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광궤 별선 계획으로 막대한 반대를 무릅쓰고 밀고 나갔던 토카이도 신칸센의 대성공은 여러모로 철도에 관한 관점으로 바꾸어 놓았다. 패전 후, 정치권에서는 철도는 필요하면 하면되는 별 관심없는 사항이었지만, 신칸센이 도쿄 올림픽과 경제 성장기에 대박을 치면서 그때부터 여..
$1 조지 워싱턴 미 합중국 초대 대통령. 취임식때 영국제가 아닌 미국제 옷을 입겠다고 할 정도로 자국산업 보호 강조. 정부의 자금 조달 투명성을 강조. $2 토머스 제퍼슨 3대 대통령. 현대 자유 시장 경제주의(신 자유주의)의 수호성격 존재. 무역 보호주의에 반대. 단, 특허 제도나 지적 재산권에 대해선 반대. $5 애이브레험 링컨 16대 대통령. 북미 공업 자본가들을 위해 흑인 노예 해방. 남북전쟁 당시에 무역관세를 대폭 인상해서 자국 산업을 적극적으로 보호. $10 알렉산더 해밀턴 미합중국 초대 재무부 장관. (조지 워싱턴 대통령이 임명.) 초기 미 합중국 경제체계를 설계하고 미국 보호무역의 시작점을 만듦. (The report on the subject of manufacture) $20 앤드류 ..